Surprise Me!

[녹색] 농촌진흥청, 여름철 벼 안정생산 '병해 관리 요령' 소개 / YTN

2025-07-24 0 Dailymotion

농진청은 이삭도열병, 이삭누룩병, 흰잎마름병 등 여름철 벼 병해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등록 약제를 안전 기준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농진청은 특히 집중호우로 벼가 물에 잠기면 수확량이 감소하게 된다며, 가능한 한 빨리 깨끗한 물로 잎에 붙은 오물을 씻어내야 광합성이 정상화되고 뿌리 활력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약제 관련 최신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(psis.rda.go.kr)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'이삭도열병'은 3일 이상 비가 이어져 습도가 높고 기온이 25도(℃) 정도로 낮을 때 잘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처음에는 이삭이 회백색을 띠다가 이삭목을 중심으로 검게 변하고, 병이 심해지면 마디가 검게 변하며 부러지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이삭이 나오기 전후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해 예방합니다. <br /> <br />'세균벼알마름병'은 이삭이 나오는 전후 30도 이상 고온과 다습한 환경에서 잘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감염되면 이삭이 팬 직후에 벼알이 맺히는 부분부터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해 벼알 전체가 변색합니다. <br /> <br />병이 심해지면 이삭이 여물지 않아 수량과 품질이 줄어듭니다. <br /> <br />가스가마이신, 옥솔린산 등의 항생제 계통 약제로 방제합니다. <br /> <br />'이삭누룩병'은 이삭이 패기 전후 다습할 때, 기온이 25도 내외로 낮고 햇볕이 적으면 잘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발생 초기에 둥근 공 모양의 황록색 돌출물(곰팡이 포자)이 생기고 점차 검게 변합니다. <br /> <br />아족시스트로빈, 헥사코나졸 등의 약제를 뿌리고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 <br /> <br />'흰잎마름병'은 장마와 태풍, 침수 등 물에 의해 확산합니다. <br /> <br />잎끝이 하얗게 마르다가 점차 식물체가 말라 죽게 됩니다. <br /> <br />광합성이 원활하지 않아 쌀 품질과 수확량이 떨어집니다. <br /> <br />병을 예방하려면 물이 오염되지 않게 관리하고 중간기주인 잡초를 제거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논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 물길을 정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스트렙토마이신, 옥솔린산 등의 항생제 계통 약제로 방제합니다. <br /> <br />'깨씨무늬병'은 양분이 떠내려가기 쉬운 사질토나 오랜 기간 벼를 재배한 논에서 잘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초기에는 황색 테두리에 짙은 갈색 타원형 무늬가 깨알처럼 생기고 병이 심해지면 점점 커집니다. <br /> <br />사질토 및 상습 발병지에는 미리 비료를 뿌려 생육을 돕고, 병이 발생하면 오리사스트로빈, 헥사코나졸 계열 등의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5072413061564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